검정고시 과목 및 시험 유형 분석
과목별 시험 내용과 합격 기준까지 한눈에 정리
1. 검정고시 시험 과목
검정고시는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학력을 검증하는 시험으로, 학력 수준에 따라 응시해야 할 과목이 다릅니다.
1) 초등학교 졸업 검정고시 과목
- 국어
- 수학
- 사회
- 과학
- 영어
2) 중학교 졸업 검정고시 과목
- 국어
- 수학
- 사회
- 과학
- 영어
- 도덕
- 선택과목(기술·가정 또는 체육 중 1과목)
3) 고등학교 졸업 검정고시 과목
- 국어
- 수학
- 영어
- 사회
- 과학
- 한국사
- 선택과목(도덕, 기술·가정, 체육, 음악, 미술 중 2과목)
각 학력별 필수 과목과 선택 과목이 다르므로, 시험을 준비할 때 반드시 응시해야 할 과목을 확인해야 합니다.
2. 검정고시 시험 유형 분석
검정고시는 객관식 문제 위주로 출제되며, 과목에 따라 문제 유형이 다소 다릅니다. 과목별 시험 유형을 살펴보겠습니다.
1) 국어
독해, 문법, 작문 등의 영역에서 문제가 출제되며, 문학과 비문학 지문이 포함됩니다. 객관식 4지선다형 문제로 구성됩니다.
2) 수학
대부분 객관식 문제로 출제되며, 기본 연산, 함수, 확률과 통계, 기하 등 다양한 영역이 포함됩니다. 난이도는 중학교 또는 고등학교 교육 과정 수준입니다.
3) 영어
어휘, 문법, 독해 중심의 문제가 출제되며, 일부 듣기 평가 문제가 포함될 수 있습니다. 독해 지문이 많기 때문에 독해 연습이 필요합니다.
4) 사회
역사, 지리, 일반사회 등 다양한 분야에서 출제됩니다. 핵심 개념과 시사 문제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5) 과학
물리, 화학, 생물, 지구과학 등 기초 개념을 중심으로 출제됩니다. 실험과 관련된 문제도 포함될 수 있습니다.
6) 한국사
선사 시대부터 현대까지의 한국사 내용이 포함되며, 연도 암기보다는 흐름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7) 선택과목
도덕, 체육, 음악, 미술, 기술·가정 등에서 2과목을 선택하여 응시합니다. 대부분 기본 개념을 묻는 문제가 출제됩니다.
3. 검정고시 합격 기준 및 점수 계산법
검정고시는 100점 만점 기준으로 과목별 점수가 계산됩니다. 합격 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1) 과목별 합격 기준
- 모든 과목 평균 점수가 60점 이상이면 합격
- 한 과목이라도 60점 미만이면 불합격
2) 부분 합격 제도
일부 과목에서 60점 이상을 받으면 다음 시험에서 해당 과목을 면제받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부족한 과목만 집중적으로 공부하는 것도 전략이 될 수 있습니다.
3) 점수 계산 예시
예를 들어, 7과목 시험을 응시했을 때 점수가 다음과 같다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 국어: 70점
- 수학: 65점
- 영어: 50점
- 사회: 80점
- 과학: 75점
- 한국사: 90점
- 도덕: 85점
위 경우, 평균 점수는 (70+65+50+80+75+90+85) ÷ 7 = 73.57점이지만, 영어가 60점 미만이므로 불합격 처리됩니다.
'educati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실전 연습 꿀팁, 검정고시 기출문제 100% 활용하는 방법! (0) | 2025.03.17 |
---|---|
검정고시 공부 계획부터 모의고사 활용법까지 (0) | 2025.03.17 |
검정고시 시험일은 언제? 2025년 최신 일정 및 접수 방법 (0) | 2025.03.15 |
학력 검정 시험, 검정고시! 개념부터 필요성까지 (0) | 2025.03.15 |
사이버대학교 FAQ & 성공적인 원격 학습법 (0) | 2025.03.14 |